안녕하세요 이지수능교육 잉커 서포터즈 6기 @은암입니다. 오늘은 영문법에 대해서 정리하려고 합니다. 아무래도 다른 나라의 언어이기 때문에 문법도 많이 헷갈리고 단어도 외워야 하고 굉장히 짜증이 날 텐데요 수능에 나오는 어법 문제와 독해에 필요한 요소를 바탕으로 깔끔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일단 저는 ‘품사’와 같은 명칭을 별로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고 그 자체의 역할에 좀 더 집중해서 정리할 것이라는 점을 미리 말씀드리겠습니다!
| 고등학교 영어 수능 문법
▶ 문법의 구성요소
문법의 구성요소에는 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가 있습니다. 명사는 주어, 목적어, 보어 역할을 하고 동사는 동사의 역할을, 형용사는 명사를 수식하거나 보어의 역할을, 부사는 주로 명사를 제외한 모든 것을 수식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 대체 가능성
이거는 그냥 제가 임의로 사용하는 말로 앞서 말씀드린 문법의 구성요소를 다른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는 의미를 담고 있는 단어입니다.
명사구는 to 부정사, 동명사, 의문사 + to 부정사로,
형용사는 의문형용사, 관계대명사, to 부정사, 현재분사, 과거분사. 전치사 + 명사구로,
부사는 to 부정사, 전치사 + 명사구, 분사구문으로 대체됩니다.
▶ 문장의 확장
접속사가 주인공입니다. 접속사는 연결의 도구로 2가지 이상의 문장의 구성 요소들을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① 등위 – and, or, but 으로 대등하게 연결합니다. 특히, and는 우리가 병렬이라고 일컫는 구조를 이룹니다.
② 종속 – S, O, C, Avd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명사절은 that, whether, if what, who, why, what, which 등의 접속사를 사용하여 명사의 역할을 하는 요소를 만들고, 형용사절은 관계대명사, 관계부사를 접속사로 사용하여 형용사의 역할을 하는 요소를 만듭니다.
▶ 독해를 위해 꼭 알아야 하는 문장의 형식
사진으로 요약해두었으니 읽고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 독해를 위해 꼭 알아야 하는 수동태
수동태는 기본 형식을 알아두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미래형 수동태, 현재진행형 수동태, 현재완료형 수동태 등 화려한 수동태가 많지만 S be+pp (by N) 라는 기본 형식을 바탕으로 응용한다는 생각을 하면 되고, 해석할 때는 N가 S를 R(pp의 원형동사)했다 라고 뒤에서부터 해석하면 좋습니다. 수동태가 어색한 경우 제가 말씀드린 방법을 사용하시면 훨씬 수월합니다.
▶ 수능 영문법 문제 29번을 위한 방법
일단은 무조건 해석을 해야 한다는 사실을 미리 말씀드립니다. 요즘은 대충 문제 표지만 보고 어? 이거네 라고 바로 답이 나오게끔 출제를 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첫 문장, 표지가 포함된 문장 정도는 기본으로 해석해야 합니다.
1) 동사, 준동사에 밑줄이 그어져 있을 때
첫 번째로는 동사 자리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준동사는 동사가 아니기에 1절에 1개의 동사가 있는지를 확인하면 됩니다. 절에 동사가 없다면 밑줄을 그은 것이 동사이고 절에 동사가 이미 있다면 밑줄이 준동사여야 하기 때문에 이를 바탕으로 적절하게 판단해야 합니다.
두 번째로는 수 일치, 태, 시제를 확인해야 합니다, 예전에 선생님께서 알려주신 팁인데요 저는 모의고사를 볼 때 항상 수태씨~ 라고 적어두었습니다. 수일치는 단, 복수를, 태는 능동태와 수동태를, 시제는 과거, 현재를 파악하면 됩니다. 여기서 시제에 대해서 궁금하신 점이 많으실 텐데요.
솔직히 현재완료, 과거완료, 미래완료, 과거 진행, 미래 진행 등 너무 복잡하지만 복잡한 만큼 이를 명확하게 구분하기 어려운 것도 사실입니다. 따라서 수능 29번에서는 현재와 과거를 큰 축으로 두고 비교한다고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2) 접속사에 밑줄이 그어져 있을 때
접속사를 포함한 문장이 완전한지 그것만 따지면 됩니다. 명사절은 접속사 뒤가 완전하고, N뒤에서 수식해 주는 관계대명사는 명사가 비어있고, 관계부사는 부사가 비어있으며, 동격은 완전합니다.
3) 형용사에 밑줄이 그어져 있을 때
부사와 형용사를 구분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서 문장의 형식에 기반하여 2형식인 경우에는 보어의 자리에 형용사가, 3형식의 경우에는 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가 사용되거나 부사가 전체적인 수식을 하는 식으로 사용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4) 나머지
나머지 중에서는 대동사와 it 재귀대명사 정도가 있는데 재귀대명사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대명사가 목적어 자리에 있는 경우 해석상의 주어와 목적어가 같은지를 확인하고 그렇다면 재귀대명사를 사용해야 하고 그렇지 않다면 대명사를 사용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 마치며
영문법은 굉장히 귀찮지만 또 정말 중요합니다. 수능에서 나오는 영문법만 정리하기에는 독해와 직결된 부분이 있기에 이지수능교육 영문법 문제집을 하나 사서 빠르게 훑어보는 식으로 예문과 함께 공부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저는 이지수능교육의 영어 수업을 들으며 문법에 대한 두려움이 사라졌습니다. 영어 과목에 대한 어려움이 있으시다면 이지수능교육의 과외 수업을 들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이지수능교육 내신 관리 특강!
이번 6모 영어가 불이었는데 이런 상황에서도 굳건히 1등급을 받기 위해서는 요령보다는 기본을 다지는 시간을 꼭 가져야 한다는 것을 잊지 않으시면 좋겠습니다. 여러분의 성공적인 입시를 응원합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