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뮤우입니다!
어느새 방학이 찾아와 열심히 공부를 하고 있을 학생분들이 많을 것 같은데요~
특히 고등학생분들은 개학과 함께 다가오는 3월 모의고사를 위해 새롭게 모의고사 공부를 시작하는 분도 많을 것 같습니다.
저도 모의고사를 처음 접했을 때는 어떻게 공부하고, 풀어야 효율적일지 고민이 많았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고등학교 물리1 모의고사를 풀 때의 꿀팁과 모의고사 물리 공부법! 을 전수해 드리려 합니다.
추가로 제가 활용했던 모의고사 물리1 문제집 추천도 해드릴 테니 끝까지 읽어봐주세요!
│고등학교 물리1 어려운 부분
고등학교 물리1은 크게 역학과 에너지, 물질과 전자기장, 파동과 정보 통신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흔히 킬러 문제라 불리는 파트는 역학과 에너지 단원에서 나오는데, 7문제 정도가 이 단원에서 출제됩니다.
일반적으로 뒤로 갈수록 물리 문제의 난이도가 높아지며 주로 18, 19, 20번 문제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평소에 물리1 문제집으로 물리 공부를 할 때 17번까지 20분 내에 다 풀 수 있도록 연습했습니다.
│모의고사 물리1 문제집 추천
시중에 17번까지의 문제만을 모아둔 사설 물리 모의고사가 따로 있기 때문에 이를 활용하여 공부했습니다.
시간이 감소하는 그래프
또 사설 모의고사와 동시에 물리1 문제집으로 이지수능교육의 기출 리허설 교재를 활용하였습니다.
물리1 문제집을 통해 모의고사 기출문제를 우선 완벽 이해하는 것이 더 중요하고, 개인적으로 기출과 사설 모의고사를 병행하는 것이 감을 잃지 않은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언제나 항상 난도가 높은 문제들이 후반부에만 있다는 생각을 하면 안 됩니다!!
맨 앞장이나 초반 번호에서 어려운 문제가 나올 수 있다고 생각을 하면서 문제를 풀어나가야 합니다.
어려운 문제가 아니더라도 갑자기 막히는 문제가 있을 수도 있기에 이런 상황을 대비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시간관리 꿀팁
저는 의도적으로 어려운 문제를 랜덤적으로 배치하는 물리 공부법으로 공부를 해왔습니다.
이런 연습을 하는 이유는 ‘모르는 문제를 잘 넘어가기 위해서’입니다.
시간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자신이 풀 수 있고 없는 문제를 짧은 시간에 판단하고 넘어가는 역량이 필요합니다.
특히나 흔히 킬러 문제가 어디에 위치해있는지 모르는 시험지를 풂으로써 숫자에 대한 강박이나 편견을 없앨 수도 있습니다.
고등학교 물리1 모의고사를 30분 안에 20문제를 풀기 위해 체화하는 과정도 필요합니다.
문제를 풀다 보면 역학에서 많이 쓰이고 유용한 공식들이 자주 보입니다.
그런 공식을 더욱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뿐만 아니라 전자기나 파동 파트에서는 경우의 수를 두고 풀어야 하는 문제가 있습니다.
미리 각 조건 별로, 유형 별로 정리를 해둔다면 시험장에서 고민하는 시간을 많이 단축할 수 있을 겁니다.
짧게 요약하자면 “모르는 문제는 빠르게 넘기고, 17번까지 20분 내로 풀 수 있도록 하자!”
물리 필기 공부 사진
저는 이렇게 저만의 규칙을 만들고 저의 물리 공부법에 적용시키는 훈련을 해왔는데요.
모의고사를 아직 많이 접해보지 않은 친구들에게는 잘 와닿지 않을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제가 적용해 보았던 물리 공부법을 참고하여 공부해 본 다면, 금방 감도 생기고 자신만의 문제풀이 순서나 시간관리 꿀팁을 만들어 나갈 수 있을 거예요.
오늘 소개해 드린 저의 물리1 모의고사 꿀팁과 문제 풀이 순서가 도움이 되었길 바라면서, 이만 줄이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