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고등학교 겨울방학 기간 계획은? 취미부터 생활패턴까지
2025.01.15
+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부
이지수능교육 서포터즈 @은암
칼럼 KEYWORD
학종준비 논문분석 국어공부

안녕하세요 이지수능교육 잉코서포터즈 6기 @은암입니다.

 

학생 여러분 모두 겨울방학을 잘 보내고 계시나요?

겨울방학은 여름방학보다 상대적으로 긴 만큼, 어떻게 시간을 보내면 좋을지 고민하는 학생들이 많을 것 같네요.

 

먼저 고등학교 겨울방학 기간은 봄방학 유무에 따라 학교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보통 12월 말에 시작하여 2월 말까지 방학을 보내게 되고, 3월 초 개학을 맞이하게 됩니다.

 

두 달 정도 되는 소중한 고등학교 겨울방학 기간, 보람차게 보내야겠죠?

 

그래서 오늘은 고등학교 겨울방학 기간을 알차게 보내는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해 보려고 합니다.

 

일단 저는 공부만 하면서 보내긴 했으나 방학 취미 활동이나 여가 시간 등 공부 외엔 별다른 방학 계획 없이 고등학교 겨울방학 기간을 보내 다소 아쉬웠던 기억이 있습니다.

 

저의 경험들을 바탕으로 여러분의 방학 계획에 도움이 되는 팁들을 많이 전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0. 겨울방학 때는 꼭!!!! 체력을 길러라

 

제가 고등학교 겨울방학 기간에 하지 않아 진짜 두고두고 후회했던 것입니다.

 

근육 운동 같은 건 필요 없고 유산소 운동을 규칙적으로 꼭 해서 체력을 길러주세요.

보통 수험생들은 여름에 체력이 꺾입니다.

요즘 여름이 더 길어지고 있는 거 아시죠? 저도 여름을 버티기 너무 힘들었습니다.

이때도 결국 체력으로 버티는 것입니다.

 

수능이 다가올수록 지쳐서 잠이 많아지고 공부에 집중하기 힘들어집니다. 수능 끝나고 망가진 체력을 회복한다고 저도 운동을 매일 했었는데요.

 

그때의 경험을 바탕으로 생각해 보니 수험생들은 매일 운동하기는 힘드니까 고등학교 방학 기간 동안 일주일에 3일 정도 러닝머신으로 최소 2km, 최대 6km 정도를 운동하되 절반은 뛰고 절반은 걷는 식으로 운동하면 체력이 그나마 좀 유지되는 것 같습니다.

 

겨울 방학에 공부해야 한다고 시간 아깝다고 운동 기피하지 마세요... 정 안되면 주말에 등산이라도 꼭 가세요.

 

겨울은 좀 춥긴 하지만 땀도 안 나고 햇볕도 비교적 강하진 않아서 등산하기 좋습니다.

 

│1. 생활패턴을 만들어라

 

제가 공부할 때 고등학교 방학 기간부터 6월까지 가장 잘했다고 생각하는 게 바로 이겁니다.

 

저는 딱 8시에 공부 시작해서 10시까지만 공부하고 12시에 자고 6시 30분에 일어났습니다.

 

저는 최소 6시간은 자야 공부할 때 집중이 잘 되는 편이라 잠을 충분히 잤는데요,

대신에 점심 먹고 잔다거나 쉬는 시간에 자는 일은 최소화하면서 공부시간에는 최대한으로 깨어있으려 했습니다.

 

6월 이후에는 잠을 좀 줄이고 1-2시까지 공부하고 바로 자서 7시에 일어났는데 평소보다 덜 자긴 해도 집중하는데도 별로 방해가 되진 않았습니다.

(평소 알람들)

 

│2. 핸드폰 사용을 최대한 줄여라

 

일단 유명한 SNS가 페북, X, 인스타 정도인 것 같은데 저는 페북은 원래 안 해서 계정도 없고, X도 원래 안 하고 인스타도 금방 끊었습니다.

 

그 외에 OTT는 해지하고, 웹툰도 끊었습니다. 유튜브도 거의 끊긴 했는데 학원에서 모의고사 보는 날이나 6,9모 날에는 보면서 쉬긴 했습니다.

 

저는 도파민 중독자여서 핸드폰 없이 못 사는 사람인데 이지수능 선생님의 말씀을 듣고 바로 끊었습니다.

 

부모님께서 열심히 지원해 주시고 일생일대의 가장 중요한 시험, 1년만 고생하면 앞으로의 인생이 바뀌는데 고작 몇 인치짜리 전자기기에 네 인생을 낭비하고 싶냐는 말씀이 너무 크게 와닿아서 디지털 디톡스를 성공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매일 가지고 다니는 수학 노트에 적어 놓은 사진)

 

제가 방학기간 동안 이지수능교육 과외를 들으면서 좋았던 점은 물론 잘 가르쳐 주신 것도 있지만,

 

이렇게 저의 체력적, 멘탈적으로 미래에 도움이 되는 조언들을 해주는 페이스메이커 역할도 함께해 주셔서 수험생활 동안 도움을 많이 받았던 것 같습니다.

 

이지수능교육 겨울방학과외

 

여러분도 꼭 핸드폰을 멀리하시면 좋겠습니다.

 

│3. 어느 정도의 여가 시간은 꼭 가져라

 

저는 방학 취미도 없고 여가 시간도 뭐 폰 보거나 잠을 자는 학생이었는데요,

지금 생각해 보면 계속 그렇게 살았기에 슬럼프도 생겼고 금방 지쳤겠구나 싶었습니다.

 

공부가 너무 하기 싫은 날 방학 취미생활이나 여가활동을 만들어 한 달에 한 번 정도는 원하는 대학교 캠퍼스 구경을 가거나 반나절 정도는 영화나 연극 보고 쉬다가 다시 집중하는 등 refresh 하는 시간을 꼭 가졌으면 좋겠습니다.

 

│4. 쉬는 시간에 꼭 쉬기

 

우리 뇌는 최대 공부시간이 그다지 길지 않습니다.

따라서 배운 내용을 정리하려면 뇌가 쉬는 시간을 꼭 가져야만 합니다.

 

따라서 3시간 공부하면 10분 정도는 꼭 쉬는 시간을 가지는 것을 추천하고 낮잠을 자기보다는 멍을 때리거나 편하게 읽기 좋은 현대 소설은 것을 읽는 걸 추천합니다.

(공부할 때 스스로 지켜야 하는 것들을 적어놓은 메모장)

 

 

│5. 미리 독서를 하자

 

수시러 들은 앞으로 새 학기에 읽어야 할 책을 방학 계획을 세워 고등학교 방학 기간 중에 미리 읽어두는 것을 추천합니다.

 

학기 중에 너무너무 바쁜 거 제가 굳이 더 언급하지 않아도 겪어봤으리라고 생각합니다.

 

대충 다음 학기에는 무슨 과목을 공부하는지는 전 학기에 선택과목을 자신이 선택했을 테니 이를 바탕으로 또는 자신의 생기부 콘셉트나 희망 전공을 바탕으로 고를 책을 선택하면 됩니다.

 

수시러가 아니더라도 공부하기 싫을 때 엄한 거 하지 말고 고등학교 겨울방학 기간 동안 책 읽는 것도 정말 좋습니다.

 

책 읽는 습관과 책 읽을 때 하는 사고들이 결국 국어 공부할 때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제가 6모 끝나고 국어 슬럼프가 왔었는데 그때 쉬는 시간이나 자기 전에 ‘제3인류’라는 과학이랑 역사, 철학을 복합적으로 다루는 소설을 틈틈이 읽으면서 감은 유지하되 마음 편하게 글을 읽어서 글이랑 다시 친해지고 국어 슬럼프를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되었던 경험이 있습니다.

 

│마무리하며

 

고등학교 방학 기간은 정말 중요합니다. 체력 보충도 하면서 열심히 공부해서 다음 학기를 대비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이기 때문이죠!

 

공부 관련된 잔소리는 이미 충분히 많이 들었을 것 같아서 방학 때 놓치기 쉬운 것, 공부 외적인 요소들을 한 번 이야기해 보았습니다.

 

공부는 2일 이상 쉬기 시작하면 바로 흐름을 놓치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대부분 공휴일에도 2-3시간 정도는 공부하라고들 하는 것이죠.

 

하지만 별생각 없이 책상에만 앉아있는 것도 그다지 좋진 않습니다.

 

이 글을 참고하시어 방학 계획을 세워 공부는 꾸준히 하되 방학 취미생활 등 나름의 여유를 가지면서 계속 지치지 않고 해나가면 좋겠습니다.

 

고등학교 겨울방학 기간! 뜻깊게 보내시길 바라며, 여러분의 성공적인 입시를 응원합니다.